● 웹사이트:https://www.dash.org/
● 백서:https://dashpay.atlassian.net/wiki/spaces/DOC/pages/5472261/Whitepaper
● 트위터:https://twitter.com/Dashpay
● 시가총액 및 시세: 코인마켓캡 기준 https://coinmarketcap.com/currencies/dash/
● 공급량: 22,500,000개
● 발행방식: 채굴형(ASIC, GPU, CPU)
● 블록생성시간: 약 2분36초
● 설립자 및 개발자: Evan Duffield, Ryan Taylor
● 특징 및 전망:
익명성과 추적이 불가능한 성질을 갖는 분산화된 가상화폐.
현금처럼 필요할 때 즉시 익명으로 결제 가능하며 지불수단 용도로 특화.
Xcoin, DarkCoin으로 불린 바 있음.
지난 2015년 3월 불법사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루머때문에 DASH로 이름을 변경해 확정.
이름이 비슷한 Dachcoin(DSH)과는 관련이 없음.
마스터노드에 의한 코인조인방법을 사용해 강한 익명성을 구현.
코인조인방법은 최소 세 개 이상의 거래를 묶어 한 번 이상 섞은 후 거래 내용을 내보내기 때문에 추적이 어렵다고 함.
이원화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두 번째 단계인 마스터노드에 의해 구현.
채굴자가 일차적으로 기본적인 송금과 이중지급 예방을 처리하면 마스터노드는 코인조인방법으로 익명성을 강화하고, 예산을 관리함.
블록체인에 기여한 보상은 이 두 주체가 45%씩 가져가고, 나머지 10%는 예산 시스템을 위해 유보.
마스터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1000 대시를 보유하고 있어야 함.
블록마다 예산이 10%씩 쌓이는 독립적인 예산 시스템(DGBB)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다른 코인들처럼 기부나 후원에 의지하지 않고 자체 기금으로 운영됨.
최종 공급량인 2200만 개에 도달하기 위해 매년 7.14%씩 발행량이 줄어드는 구조.
애플과 애플스토어의 결제 문제를 협업 진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