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산 커뮤니티 앤츠코인넷

코인니스

  • 8분 전

    리서치 "바이낸스 $43억 벌금 이슈, 코인베이스·바이비트가 최대 수혜자"

    블록체인 분석 업체 카이코 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인사이트 보고서를 통해 "바이낸스가 미국 정부와 합의한 뒤 가장 큰 수혜를 입은 거래소는 코인베이스와 바이비트"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바이낸스의 $43억 벌금 이슈 이후 코인베이스의 주가는 11월 75% 이상 급등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250%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바이낸스의 시장 점유율이 최대 4% 하락함과 동시에 바이비트의 시장 점유율은 50%, 코인베이스는 3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바이낸스가 자금세탁방지법 위반 유죄 인정 이후 빼앗긴 시장 점유율 중 상당 부분이 코인베이스와 바이비트로 향했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낸스의 오더북 뎁스는 견고했고 유동성도 급감 조짐은 없으며, 시장 점유율 1위 위치도 유지했다. 지난 몇 년간 지속된 암호화폐 업계 혼란으로 거래량은 특정 구간에 고착성을 띠고 있으며,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이미 사용하고 있던 거래소를 계속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또 이번 바이낸스와 미국 정부의 합의는 거래소들의 컴플라이언스 및 AML/KYC 강화로 모두에게 긍정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26분 전

    분석 "BTC 채굴자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많은 BTC 매도"

    크립토퀀트 리서치 총괄 훌리오 모레노(Julio Moreno)가 X를 통해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지난달 비트코인 가격이 16,000~17,000 달러 구간에서 바닥을 쳤던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많은 양을 매도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흥미로운 점은 채굴자발 매도 물량이 뚜렷하게 증가했음에도 BTC 가격은 38,000 달러를 회복하며 강세 흐름을 유지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50분 전

    분석 "11월 40.6억 신규 발행 USDT, 거래소로 유입"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지난달 신규 발행된 USDT 중 약 40.6억 USDT가 중앙화 거래소로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룩온체인은 "11월 트론(TRX)과 이더리움(ETH) 체인에서는 50억 USDT가 신규 발행됐다. 그중 이더리움 고래 '0x1dBb'는 테더 트레저리로부터 15억 USDT를 수령해 거래소로 입금했고, 트론 네트워크에서도 25.6억 USDT가 'TQef1n'로 시작하는 주소를 거쳐 테더 트레저리에서 크라켄으로 이체됐다"고 설명했다.

  • 54분 전

    코인베이스 CEO "미래의 AI 에이전트, 암호화폐로 거래할 것"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이 1일(현지시간)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미래의 인공지능(AI) 에이전트는 암호화폐를 사용해 거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AI 에이전트는 정보 및 API 호출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거래를 해야 한다. 미래의 AI가 비자(Visa) 등을 통해 서로 돈을 주고 받는 세상은 상상하기 어렵다. 오히려 암호화폐와 같은 디지털 네이티브 화폐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AI와 암호화폐 산업은 교차점이 존재한다. 정보의 출처 확인 등 사용 사례를 위해 두 기술은 융합될 수 있다. LLM에 의해 생성되는 가짜 정보나 바이러스, 딥페이크 이미지 및 비디오를 식별하는 데 암호화폐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또 암호화폐 거래소도 사기 피해 예방, 고객 지원, 백엔드 서비스 등에서도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코인베이스도 현재 개발자들의 코드 작성 편의성을 위해 AI 툴을 사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1시간 전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BTC 현물 ETF, 내년 1/8~1/10 승인 가능성 높아"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현물 ETF는 1월 8일(현지시간)부터 1월 10일 사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출시 승인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달력에 표시해두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SEC는 공식적으로 1월 5일부터 1월 10일 사이에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여부를 발표해야 하는데, 주말을 제외하면 8, 9, 10일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해당 일자 전에 승인 결정이 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또 SEC는 이론적으로 9개 신청사에 대해 일괄 승인 명령을 내릴 수 있지만, 실제로 그렇게 할 것 같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 1시간 전

    $1억 BTC 대규모 이체...익명→코인베이스

    웨일얼럿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2일 00시 19분 경 익명의 비트코인 지갑에서 코인베이스 지갑으로 약 1억 달러 상당의 2,588 BTC가 이체됐다.

  • 1시간 전

    데이터 "이번주 BTC 네트워크 수수료, 전월 比 53% 감소...오디널스 부진 탓"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분석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이 X를 통해 "이번주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트랜잭션 수수료는 약 2710만 달러로, 지난주 대비 약 53.3% 감소했다. 이는 오디널스 관련 트랜잭션 감소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주 중앙화 거래소에서는 약 4.5억 달러 상당의 BTC가 순유출(외부 출금)된 것으로 나타났다.

  • 1시간 전

    FT "英 국세청, 암호화폐 보유자에 자발적 투자 수익 보고 촉구"

    영국 주요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가 "영국 국세청(HMRC)이 최근 현지 암호화폐 보유자들에게 미신고 투자 수익 보고를 촉구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HMRC가 암호화폐 투자 관련 미납 세금과 관련 집중 단속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1일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HMRC는 이번주부터 거래소 토큰, NFT, 유틸리티 토큰을 포함한 암호화폐 자산 투자 수익에 대한 미납 세금을 신고하도록 장려하는 '자발적 공개 메커니즘'을 도입했다. 암호화폐 보유자 대상으로 해당 메커니즘이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관련 세계 5대 회계법인 중 하나인 BDO의 조세 분쟁 해결 책임자인 던 레지스터(Dawn Register)는 "HMRC의 이러한 움직임은 암호화폐 보유자들의 규정 미준수에 대한 우려를 표하는 동시에 미납 세금 회수 의지를 내포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 1시간 전

    우크라 법원, 횡령·돈세탁 혐의 고위 공직자 보유 $150만 암호화폐 압수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프로토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고등부패방지법원(High Anti-Corruption Court) 최근 횡령 및 돈세탁 혐의를 받고 있는 전 특별 통신·정보 보호국(SSSCIP) 국장 유리 시홀(Yurii Shchyhol)로부터 150만 달러 상당의 USDT, BTC, TRX 등을 압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리 시홀은 170만 달러 상당의 공금을 횡령한 혐의로 SSSCIP에서 해고됐다. 해외로 빠져나간 횡령금 대신 우크라이나 법원은 시홀이 보유 중이던 120만 USDT, 331 TRX, 6.9 BTC 등을 압수했다. 한편 시홀은 현재 약 69.3만 달러 규모의 보석금을 지불하고 석방된 것으로 알려졌다.

  • 1시간 전

    분석 "日 세법상 암호화폐 상속에 최대 110% 과세 가능...상속포기 불가피"

    일본 디파이 전문 플랫폼 디파이어(DeFIRE)가 "일본의 현행법 상 거액의 암호화폐를 상속할 때 최대 110%의 세율이 적용돼 사실상 상속 포기가 강제될 수 있다"고 1일 분석했다. 이와 관련 디파이어는 "피상속인(사망자)이 만약 100만엔에 비트코인을 구입했고 사망 시 비트코인 평가액이 10억 엔이라고 가정했을 때, 우선 10억엔 가치의 자산이 상속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최고 세율인 55%의 상속세가 부과된다. 상속인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상속받은 비트코인을 매각해야 하는데, 이 경우 취득 가격인 100만엔을 제외한 9억 9,900만엔이 잡소득으로 분류돼 주민세 포함 55% 세율의 소득세가 부과된다. 두 종류의 세금만 합해도 벌써 원금을 뛰어넘는 세금이 발생한다. 상속인은 결국 상속을 포기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디파이어는 "사망 전 증여를 하더라도 암호화폐 투자 수익이 크다면 110%의 세금이 부과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모처럼 비트코인으로 큰 돈을 벌었다고 해도 상속할 수가 없는 현실이다. 일본 내 세법이 개정되거나, 상대적으로 세율이 낮은 국가로 이민하면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